두산에너빌리티 해상풍력 기술, 세계적 경쟁력 확보
두산에너빌리티 해상풍력 기술, 세계적 경쟁력 확보
업계는 무엇보다 두산에너빌리티의 국내 첫 10MW 해상풍력발전기 개발과 150여 개 국내 협력사와 함께 이룬 성과에 주목하고 있다. 중소기업 동반성장 모델로서의 의미에 더해 2038년까지 풍력 설비 40.7GW 확대, 해상풍력 특별법 추진 등 정부 정책과의 시너지를 기대하는 분위기다.
Industrials
편집자
편집자
Industrials    

두산에너빌리티는 자사가 개발한 10MW 해상풍력발전기(모델명 DS205-10MW)가 국제 인증기관 UL(Underwriters Laboratories)로부터 형식 인증(Type Certification)을 취득했다고 23일 밝혔다. 국내 기업이 10MW급 해상풍력 모델에 대해 국제 인증을 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에 인증을 취득한 10MW 모델은 두산에너빌리티가 지난 2022년 개발한 8MW 모델의 업그레이드 버전이다. 지난 2월부터 전라남도 영광에서 실증을 시작해 4월 현장 실증시험 마무리 후, 설계 및 시험 데이터 검증을 거쳐 국제 인증을 취득했다.

이 모델은 블레이드 회전 직경 205미터, 전체 높이는 아파트 약 80층에 해당하는 230미터에 이른다. 6.5m/s의 저풍속 환경에서도 이용률 30% 이상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편집자 주: 이용률은 1년 동안 풍력발전기가 실제로 생산한 전력량을 정격 용량으로 생산 가능한 전력량으로 나눈 비율을 뜻한다.)

국제 인증기관 UL로부터 국내 최초로 형식 인증을 취득한 두산에너빌리티 10MW 해상풍력발전기.

2005년 해상풍력 사업을 시작한 두산에너빌리티는 2017년 제주 탐라(30MW), 2019년 전북 서남해(60MW), 2025년 제주 한림(100MW) 프로젝트에 해상풍력발전기를 공급하며 국내 해상풍력 최다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사업 초기 약 30% 수준에 머물렀던 부품 국산화율을 현재 약 70% 이상으로 끌어올리며 국내 해상풍력 생태계 조성에 기여해왔다.

업계는 무엇보다 국내 첫 10MW 해상풍력발전기 개발과 150여 개 국내 협력사와 함께 이룬 성과에 주목하고 있다. 중소기업 동반성장 모델로서의 의미에 더해 2038년까지 풍력 설비 40.7GW 확대, 해상풍력 특별법 추진 등 정부 정책과의 시너지를 기대하는 분위기다.  

정부는 2월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통해 풍력발전 설비용량을 2038년까지 40.7GW로 확대하는 목표를 제시했다. 현재 국내 풍력발전 누적 설비 용량은 2.3GW에 불과해 빠른 확대가 전망된다. 정부는 ‘해상풍력 특별법’, ‘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 전환 가속화’, ‘에너지 고속도로 건설’ 등의 정책을 통해 국내 해상풍력 보급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

한편 두산에너빌리티는 6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추진 중인 가스복합발전소 2곳에 3,400억원 규모의 주기기 공급 계약을 연이어 체결했다.

당신이 놓친 글
캄보디아 전기오토바이 인프라 보급...온실가스 40만톤 한국으로 이전
캄보디아 전기오토바이 인프라 보급...온실가스 40만톤 한국으로 이전
by 
편집자
2025.7.28
미래 전력산업, ‘기술+인프라+데이터’ 관건
미래 전력산업, ‘기술+인프라+데이터’ 관건
by 
편집자
2025.7.18
기아, PPA로 신규 재생에너지 공급 추진
기아, PPA로 신규 재생에너지 공급 추진
by 
편집자
2025.7.15
롯데케미칼, PE·PP·PET 등 39개 제품 환경표지 인증
롯데케미칼, PE·PP·PET 등 39개 제품 환경표지 인증
by 
편집자
2025.7.14
당신이 놓친 글
캄보디아 전기오토바이 인프라 보급...온실가스 40만톤 한국으로 이전
by 
편집자
2025.7.28
캄보디아 전기오토바이 인프라 보급...온실가스 40만톤 한국으로 이전
미래 전력산업, ‘기술+인프라+데이터’ 관건
by 
편집자
2025.7.18
미래 전력산업, ‘기술+인프라+데이터’ 관건
기아, PPA로 신규 재생에너지 공급 추진
by 
편집자
2025.7.15
기아, PPA로 신규 재생에너지 공급 추진
롯데케미칼, PE·PP·PET 등 39개 제품 환경표지 인증
by 
편집자
2025.7.14
롯데케미칼, PE·PP·PET 등 39개 제품 환경표지 인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