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부터 반도체산업 전력수요조차 감당 못 해"

국가 재생에너지 보급 목표를 상향하지 않으면 반도체 산업의 RE100 달성은 물론 국가 탄소중립 목표에도 치명적인 타격이 예상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기후솔루션과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GESI)가 공동으로 발간한 '한국 반도체 산업, 재생에너지 보급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가?: 실현을 위한 정책 제언' 보고서에 따르면, 현행 ‘BAU(현 정책유지)’ 시나리오 하에서는 반도체 산업의 RE100 수요를 2030년까지만 간신히 충족할 수 있고, 2032년 이후로는 수요 초과 현상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보고서는 국가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2030년까지 최소 30% 이상으로 상향 조정하고, 연간 10GW 이상의 재생에너지 설비가 계통에 연계되도록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현재 목표치인 21.6%로는 RE100을 선언한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주요 반도체 기업들의 이행조차 불가능하다는 설명이다.

국내 반도체 산업의 RE100 수요 및 공급. 반도체 산업의 전력 수요와 국가 재생에너지 공급 시나리오(BAU, Net-Zero)를 비교한 그래프다. BAU 시나리오에서는 2030년에 반도체 산업에 할당된 재생에너지의 94%를 사용하고, 2038년에는 반도체 산업의 수요가 그 공급을 25%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Net-Zero 시나리오에서는 반도체 산업이 2030년 49%, 2038년 59%를 사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미지 출처: 보고서에서 캡처
기후솔루션(SFOC) ·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GESI)

국내 반도체 산업의 급증하는 전력수요에 비해 재생에너지 공급 확대 속도가 뒤처지면서, 2030년부터는 산업계의 최소 수요조차 감당하기 어려운 ‘에너지 공급 격차’가 벌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보고서는 재생에너지 조달 방식 중 대부분이 ‘녹색프리미엄’에 집중되고 있는 현실도 문제로 지적했다. 해당 방식은 실질적인 신규 재생에너지 확충 효과가 미미하고, 국가 온실가스 감축 실적에 이미 반영되고 있어 기업의 추가적 감축 기여로 보기 어렵다는 것이다.

실제로 BAU 시나리오 기준 2038년 국내 반도체 산업의 간접배출량은 2023년 대비 오히려 소폭 증가해 약 1,294만 톤 CO₂eq에 이를 것으로 예측됐다.

반면 ‘Net-Zero(탄소중립 경로)’ 시나리오(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2030년 33%, 2038년 50%)에서는 PPA(전력구매계약) 중심의 조달 전략을 통해 재생에너지 단가를 낮추고 온실가스 배출도 약 24.2% 감축하는 등 실질적인 개선효과가 확인됐다. RE100 이행 여력이 상대적으로 확보되는 것이다.

이미지 출처: 보고서에서 캡처
KEI Consulting(2024)

기업들도 단기적 비용 부담보다 중장기적 경제성과 국제 기준 충족을 고려해 PPA 및 자가발전 확대에 나설 필요가 있다.

보고서는 또 “현행 전력수급기본계획상 2030년 이후 재생에너지 보급 속도는 연평균 5.3GW 수준에 불과해 수요를 따라잡지 못한다”며 “이격거리 규제 완화, 인허가 절차 개선, 계통 유연성 확보 등 공급 확대를 위한 제도 정비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매년 10GW 이상의 재생에너지 설비가 전력계통에 연계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이 시급히 뒷받침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