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은 세계적인 장기 에너지 저장 기술(LDES) 선두 기업 에너지 돔(Energy Dome)과 파트너십을 맺고 CO2 배터리 기술 활용에 나섰다.
에너지 돔은 CO2 배터리를 사용하여 장기적으로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기술을 보유한 기업이다. 장기 에너지 저장 기술은 태양광과 풍력 에너지를 저장하고 나중에 필요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태양광과 풍력 같은 재생에너지의 간헐성 문제를 해소하는 방법 가운데 하나다.
모듈식 접근 방식과 독립적인 배치가 장점인 에너지 돔의 CO2 배터리는 신뢰할 수 있는 기존 공급망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장비를 사용하여 대량의 재생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저장할 수 있어 확장성이 뛰어난 것으로 평가받는다.

리튬, 희토류 없이 전기 저장하는 CO2 배터리
전 세계에 데이터센터를 운영하는 구글은 안정적인 전기 공급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이번에 처음으로 맺은 상업용 장기 에너지 저장 계약은 2030년까지 연중 무휴(24/7) 무탄소 에너지 운영 목표 달성을 위한 조치다.
에너지 돔의 CO2 배터리는 돔 모양의 배터리에서 이산화탄소 가스를 사용하는데 재생 에너지가 풍부할 때 시스템은 CO2를 액체로 압축한다. 전력이 필요할 때 액체는 압력 하에서 다시 뜨거운 가스로 팽창하여 터빈을 회전시켜 탄소가 없는 전기를 생성한다.
CO2 배터리는 8시간에서 24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전력을 그리드로 보낼 수 있어 대규모 에너지 사용자의 기본 부하와 유연성 요건을 모두 충족한다. 특히 전기를 저장하기 위해 리튬이나 희토류 원소를 사용하지 않아 경제성이 탁월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구글은 유럽, 미국 및 아시아 태평양 지역을 포함한 모든 전략 지역에서 CO2 배터리 프로젝트를 추진할 계획이다.
태양광, 풍력 이어 LDES까지 포트폴리오 구현
모드 텍시어(Maud Texier) 구글 EMEA 에너지 담당 이사는 "더 많은 재생 가능 에너지원을 통합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태양광과 풍력이 초기 단계였을 때 1세대 기업 전력 구매 계약을 선도적으로 진행한데 이어 CO2 배터리 기술에도 한 걸음 더 빠른 접근에 나섰다.
구글은 이번 공급 계약 외에도 에너지 돔에 직접 투자했다. 이번 투자는 미국 얼라이언트 에너지(Alliant Energy), 이탈리아 엔지(Engie), 인도 NTPC 계약의 연장선상에 있다.
한편 에너지 돔은 얼마 전 얼라이언트 에너지와 콜롬비아 에너지 스토리지 프로젝트와 계약을 체결했다. 이는 미국 시장에서 가장 획기적인 규모의 프로젝트로 20MW/200MWh CO2 배터리를 도입하여 위스콘신주 약 18,000가구에 한 번 충전으로 10시간 동안 전력을 공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