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정전력·연료·인프라'…정부, 10대 핵심기술 강화 시동
'청정전력·연료·인프라'…정부, 10대 핵심기술 강화 시동
산업부는 특히 탄소중립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세 가지 축으로 ▲청정전력(태양광, 해상풍력, SMR), ▲청정연료(청정수소, 지속가능연료), ▲청정인프라(에너지저장장치, 차세대 전력망, 에너지 AI, 히트펌프, CCUS)를 집중 육성할 방침이다.
Governance&Policy
편집자
편집자
Governance&Policy    

정부가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본격적인 ‘마스터플랜’ 수립에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김정관)는 29일 서울 삼성동 한국무역협회에서 ‘탄소중립 기술·산업경쟁력 강화전략’ 수립을 위한 킥오프 회의를 열고, 분야별 전문가 30여 명과 함께 탄소중립 시대 산업 대전환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회의는 기후위기로 산업 전반의 체질 개선이 불가피한 가운데, 대한민국이 글로벌 탄소중립 선도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전략 마련의 신호탄으로 평가된다.

10대 탄소중립 핵심기술·산업(안). 이미지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

이날 회의에서는 차세대 태양전지, 해상풍력, 소형모듈원자로(SMR) 등 10대 탄소중립 핵심기술에 대한 글로벌 동향과 국내 기술경쟁력 진단이 이뤄졌다. 이원용 에너지MD, 이해석 고려대 교수 등 참석자들은 기술개발과 실증, 초기시장 조성 등을 포함한 청정전력, 청정연료, 청정인프라 분야별 전략 수립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산업부는 특히 탄소중립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세 가지 축으로 ▲청정전력(태양광, 해상풍력, SMR), ▲청정연료(청정수소, 지속가능연료), ▲청정인프라(에너지저장장치, 차세대 전력망, 에너지 AI, 히트펌프, CCUS)를 집중 육성할 방침이다.

이호현 산업부 2차관은 “탄소중립은 재생에너지 확대와 에너지 고속도로 구축 등 새 정부의 핵심 과제와 직결된다”며, “전기화와 청정연료 도입을 양대 축으로 한 산업생태계 로드맵을 통해 기술 중심의 ‘진짜 성장’을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기술혁신과 시장 연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승재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원장은 “탄소중립 실현의 핵심은 기술의 시장 안착”이라며, “정부와 연구현장 간 긴밀한 협력으로 혁신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창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원장 역시 “초격차 기술확보와 산업 체질 개선을 통해 세계 에너지 전환 시장을 선도해야 한다”며 전방위적 기술 지원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산업부는 이날 논의된 전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10대 핵심기술에 대한 집중 육성계획을 마련하고, 향후 간담회 등을 거쳐 ‘탄소중립 기술·산업경쟁력 강화전략’을 신속히 수립할 계획이다.

당신이 놓친 글
한전, 10조 원 투자…'지산지소' 전력체계 전환 본격화
한전, 10조 원 투자…'지산지소' 전력체계 전환 본격화
by 
편집자
2025.7.30
이재명 정부 “ESG는 국가 전략”…전방위 개혁 시동
이재명 정부 “ESG는 국가 전략”…전방위 개혁 시동
by 
편집자
2025.7.11
"2030년부터 반도체산업 전력수요조차 감당 못 해"
"2030년부터 반도체산업 전력수요조차 감당 못 해"
by 
편집자
2025.6.30
에너지 전환 해법은 ‘직접 PPA’...복잡한 과제 풀어야
에너지 전환 해법은 ‘직접 PPA’...복잡한 과제 풀어야
by 
편집자
2025.6.26
당신이 놓친 글
한전, 10조 원 투자…'지산지소' 전력체계 전환 본격화
by 
편집자
2025.7.30
한전, 10조 원 투자…'지산지소' 전력체계 전환 본격화
이재명 정부 “ESG는 국가 전략”…전방위 개혁 시동
by 
편집자
2025.7.11
이재명 정부 “ESG는 국가 전략”…전방위 개혁 시동
"2030년부터 반도체산업 전력수요조차 감당 못 해"
by 
편집자
2025.6.30
"2030년부터 반도체산업 전력수요조차 감당 못 해"
에너지 전환 해법은 ‘직접 PPA’...복잡한 과제 풀어야
by 
편집자
2025.6.26
에너지 전환 해법은 ‘직접 PPA’...복잡한 과제 풀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