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부는 제29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이하 COP29)에서 에너지 저장 및 전력망 협약(Global Energy Storage and Grid Pledge)에 서명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COP29 기간 동안 서약 참여는 미온적인 것으로 알려졌으나 최종 협약 참여국으로 이름을 올렸다.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가 25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한국은 COP29에서 출범한 기후 행동을 촉진하는 14개의 이니셔티브 중 5개 이니셔티브에 동참했다.
▲에너지 저장 및 그리드 서약 ▲수소 행동 이니셔티브 ▲유기성 폐자원 분야 메탄 저감 이니셔티브 ▲기후행동을 위한 물 이니셔티브 ▲바쿠 글로벌 기후 투명성 플랫폼(Baku Global Climate Transparency Platform, BTP) 등이다.
이 가운데 에너지 저장 및 그리드 협약은 2030년까지 에너지 저장(ESS) 용량을 2022년 대비 6배(1500GW)로 늘리고, 2024년까지 8000만 km길이의 전력망을 추가 또는 개조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기존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이하 전기본)에서 발표한 대로 2036년까지 장주기·대용량 중심의 ESS를 26GW까지 확대하는 데 주력하겠다는 입장이다.
또 11차 전기본 확정안 그리고 2년 뒤 나오는 12차 전기본 결과에 따라 재생에너지 백업 설비 중심의 저장장치 확대에 나설 계획이다.
하지만 2030년까지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용량을 2022년 대비 6배 확대하는 목표는 여전히 불확실하다. 지난해 10월 발간한 ‘ESS 산업 발전전략’ 보고서에 따르면 전기본에 따른 ESS 확대 목표를 2025년부터 연간 최소 0.6GW 용량의 신규 ESS 확보로 설정했지만 2022년 ESS 신규 설치 용량은 252M에 불과한 상황이다.
더구나 현재 한국의 ESS 누적 보급량은 4.1GW 정도다. COP29 서약에는 참여했지만 실제 이행 여부를 회의적으로 보는 이유다.
전문가들은 "재생에너지 확대와 ESS 확보는 수레의 두 바퀴나 다름없다"며 "관련 시장 활성화를 위해 ESS 설치 의무화, 보조금 지급, 보상제도 개편, 전력시장 제도 개선 등 실효성 있는 정책 뒷받침"을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