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에서 가장 많이 수거된 쓰레기는 제때 수거되지 못해 잘게 부서진 파편화된 쓰레기인 것으로 조사됐다.
환경재단(이사장 최열)은 한국 코카-콜라와 함께 진행한 해양 정화 캠페인 ‘2024 바다쓰담 캠페인’을 통해 수거한 해양쓰레기 약 56톤의 성상조사 결과 발표에서 이같이 밝혔다. '바다쓰담' 캠페인은 2020년부터 환경재단과 한국 코카-콜라 공동 해양 정화 프로젝트다.
이번 조사는 올해 5~10월까지 약 6개월간 전국 13개 단체와 2536명의 시민이 참여해 수거한 해양쓰레기의 종류와 분포를 파악하고 효과적인 해결책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조사에 따르면 육지에서 유입된 주요 쓰레기로 담배꽁초(6240개), 스티로폼 음식 용기(4300개), 플라스틱 파편(4279개), 플라스틱 음료수병(3787개)이 확인됐다.
주요 쓰레기로는 기타 플라스틱 및 플라스틱 파편(1만3810개), 기타 유리 조각과 나무 등 형태를 알 수 없는 물건(3829개), 타이 및 노끈(2760개) 또 어업 활동과 관련된 스티로폼 부표(2204개), 낚시줄, 통발 등이 다수 포함됐다.
특히 잘게 부서진 플라스틱 해양 쓰레기는 해양 생물이 섭취할 경우 먹이사슬의 균형을 무너뜨리는 등 해양 생태계와 인간 모두에게 중대한 위협을 가한다. 2016년 세계경제포럼에서는 "플라스틱 소비가 지금과 같다면 2050년에는 바다에 물고기보다 플라스틱 쓰레기가 더 많아질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환경재단은 "파편 쓰레기가 올해도 주요 항목으로 확인되면서 해양쓰레기 파편화의 심각성이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파편화된 쓰레기는 수거와 처리 과정에서도 큰 어려움을 초래해 조기 수거와 체계적 관리가 시급한 만큼 지역사회 협력 강화 등이 필요하다.
한편, 한국 코카-콜라는 2020년부터 한 번 더 플라스틱을 사용한다는 취지의 원더플(ONETHEPL) 캠페인을 비롯 자원순환, 물환원, 커뮤니티 등 자원 순환을 통한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방식을 모색해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