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지속가능성 보고의 새로운 방향으로 주목받고 있는 개념이 있다. 바로 '스코프 4(Scope 4)'이다.
환경(Environmental),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 분야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플랫폼인 OneStop ESG가 제시한 이 개념은 기존의 탄소 회계 체계를 넘어선 것으로 기후 위기에 대처하기 위한 혁신적인 접근 방식으로 평가받고 있다.
기존의 스코프는 스코프 1, 스코프 2, 스코프 3까지 다룬다. 스코프 1은 공장 운영 등 기업의 직접적인 운영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출량, 스코프 2는 에너지 사용으로 인한 간접 배출량, 스코프 3는 공급망-유통, 소비 과정 등에서 발생하는 배출량으로 구분된다.
스코프 4는 이 세 가지를 넘어 사전에 배출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아우르며, 비공식적이지만 탄소 회계에 중요한 부분을 보완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즉, 적극적인 조치를 통해 발생하지 않은 '배출량(회피된 배출량, avoided emissions)' 측정에 초점을 맞춘다. 이는 제품, 서비스, 또는 프로세스에서 더 나은 선택을 통해 탄소 배출을 사전에 방지하거나 감소시키는 활동을 뜻한다.

예를 들면 내연기관 차량을 전기차로 전환하고, 고효율 장비로 업그레이드하는 경우 또 대중교통 이용 또는 재활용 선택이 이뤄질 때를 아우른다. 산림 보호를 통한 탄소 흡수도 다룬다.
특정 산업에서 드러나는 '숨겨진 배출량(hidden emissions)'을 조명한다는 점도 특징적이다. 마케팅(광고로 인해 증가하는 수요와 연계된 배출), 법률(고탄소 산업에 대한 자문 활동과 관련된 배출), 컨설팅(자원 집중적 활동을 촉진하는 조언의 영향), 디자인(재료와 프로세스 결정이 고정하는 배출) 등이 대표적이다.
이는 스코프 4가 다양한 산업 분야의 탄소 발자국 형성에 간접적이지만 필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즉, 단순히 배출량을 기록하는 데 그치지 않고, 배출 자체를 막는 적극적인 행동을 강조한다.
전문가들은 스코프 4가 공식적으로 인정받는다면 기업 ESG 보고서의 한계를 채우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기업의 새로운 역할을 강조하는 스코프 4가 글로벌 탄소 회계의 새로운 기준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