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역풍에도 세계는 '탈탄소' 가속...한국, 2035 NDC 상향해야
트럼프 역풍에도 세계는 '탈탄소' 가속...한국, 2035 NDC 상향해야
미국 24개 주는 연방정부의 역풍에도 불구하고 넷제로 공약을 지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은 2030년 재생에너지 목표를 6년 앞당겨 달성하며 세계 에너지 질서가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전문가들은 지금의 글로벌 속도에서 재생에너지 확산을 늦추면 곧 비용 리스크를 부를 것이라고 경고한다.
Energy
편집자
편집자
Energy    

미국 24개 주는 연방정부의 역풍에도 불구하고 넷제로 공약을 지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 싱크탱크 클라이밋 카운슬이 7일(현지시간) 공개한 '파워 시프트: 미·중과 넷제로를 향한 경쟁' 보고서는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주춤하는 재생에너지 정책 속에 미국의 주요 주(州)·기업이 탈탄소 전환을 계속 주도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중국은 2030년 재생에너지 목표를 6년 앞당겨 달성하며 세계 에너지 질서가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EU 주요국의 재생에너지 주도 기업. 미국, 중국이 탈탄소 시장을 견인하고 있는 가운데 EU도 정책 이니셔티브를 갖고 시장 재편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이미지 출처: 보고서에서 캡처

미 24개 주 ‘넷제로 동맹’…기업 84% 공약 유지

보고서는 “트럼프 행정부의 ‘드릴 베이비 드릴’ 기조”에도 미국 인구의 54%, 경제의 57%를 차지하는 24개 주가 ‘미국 기후동맹(US Climate Alliance)’에 참여해 2050년 넷제로를 공약했다고 밝혔다.

특히 공화당 우세 지역인 텍사스는 2024년 미국 풍력 발전의 ‘3분의 1’에 가까운 비중을 생산하며 주(州) 단위 최대 풍력 생산지로 자리잡았다.

캘리포니아는 ‘올해 LA 대형 산불’ 이후 배출권거래제를 2045년까지 연장하고 기후 적응 투자 확대를 발표하는 등 주도권을 굳혔다.

기업 현장도 이탈 조짐은 제한적이다. 미국 기업의 84%가 기후 공약을 유지하고 있으며, 37%는 감축 노력을 오히려 강화한 것으로 분석됐다.

중국, 태양광·풍력 질주…2030 목표 조기 달성

중국은 2020년 이후 태양광 설비를 ‘거의 4배’, 풍력을 ‘2배’로 키우며 2024년에 재생에너지 설비 1.2TW를 달성, 2030년 목표를 6년 앞당겨 채웠다.

2025년 상반기 저배출 전원 비중은 40%로 전년 동기 36%에서 상승했고, 전력 부문 배출은 3% 감소, 전체 배출은 1% 줄며 피크를 앞당기는 신호를 보였다.

제조 경쟁력도 두드러진다. 중국은 세계 태양광 패널의 80%, 전기차의 70% 이상을 공급하며 글로벌 전환 비용을 낮추는 ‘제조 허브’ 역할을 한다.

국제에너지기구(IEA) 추정에 따르면 2025년 재생에너지 투자는 AU$3.4조로 화석연료의 두 배, 2025~2026년에는 재생 발전량이 석탄을 앞지를 것으로 전망된다. ‘저배출 전원’(재생+원전)은 이미 세계 전력의 40%를 넘어섰다.

2035 감축 시나리오(안). 출처: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2025.2.),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수립 추진상황 및 계획

한국, 2035 목표 상향과 그리드 대전환이 급하다

영국은 2024년 마지막 석탄화력발전소를 폐지하며 탈석탄을 마무리했고, 2030년까지 가스 발전 비중을 5% 미만으로 낮추는 목표를 제시했다.

EU는 상위 10개 ‘풍·태양광 강국’ 중 7개국을 배출할 정도로 재생 주도권을 공고히 하며, 2030년 배출 최소 50% 감축, 2035년 내연기관차 판매 중단 등 강력한 패키지를 추진 중이다.

전문가들은 지금의 글로벌 속도에서 재생에너지 확산을 늦추면 곧 비용 리스크를 부를 것이라고 경고한다. 뚜렷하고 일관된 넷제로 목표로 글로벌 자본 투입을 촉진하고, 전력망 확대로 새로운 전원을 흡수·안정화하며, 기술 우위를 발판으로 기업 제조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는 것이다.

한편 한국은 올해 유엔에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를 제출해야 하는데, 시민사회는 현재 2018년 대비 40%인 2030년 목표를 2035년까지 61%로 강화하거나 그 이상으로 상향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국내 전력, 산업 정책 분기점 닥친다

글로벌 전환 속도는 재생이 석탄을 추월하는 분기점으로 향하고 있다. 올해 전 세계 재생에너지 투자 규모는 화석연료의 2배, 발전 믹스에서도 2025~2026년 사이 재생이 석탄을 앞지를 전망이다.

재생이 석탄을 앞지르는 시점은 국내 전력·산업 정책의 분기점이다. 산업용 전기화(전기보일러·대체열원), 공장 지붕형 태양광·PPA, EV·열펌프 전환, 그리드 유연성 투자가 바로 핵심 의제가 됐다.

이에 따라 한국의 정책·산업 전략도 방향 전환이 시급하다. 최우선적인 정책은 '2035 목표'의 선명한 신호다. 이는 글로벌 자본을 끌어들이는 가장 확실한 디딤돌이다. 세계 전력의 40% 이상이 이미 ‘저배출 전원’으로 넘어간 상황에서(재생+원전), 목표 상향은 대규모 설비·그리드·저탄소 제조 투자로 직결된다.

CBAM 본격화…제품단위 탄소관리·MRV 고도화

이제 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가 본격화된다. 수출 주력업종(철강·시멘트·알루미늄 등)은 MRV(모니터링·보고·검증) 체계 고도화, 저탄소 전력 접근성, 저탄소 연료 전환 로드맵을 ‘제품 기준’으로 재정렬해야 한다.

보고서는 EU의 탈석탄·규제 패키지와 함께 CBAM을 핵심 무대로 거론한다. 미국은 연방 역풍에도 24개 주(인구 54%, 경제 57%)가 2035년 61~66% 감축, 2050 넷제로에 동참했다. 광역·기초지자체와 공기업이 직접 PPA·분산자원·열부문 전기화 사업을 끌어야 한다.

미국 기업의 84%는 기후 공약을 유지, 37%는 오히려 상향했다. 비용 절감·리스크 관리·성장성 확보를 이유로 든다. 국내 기업도 단기 채산성 악화 국면에서도 탈탄소 CAPEX를 유지해야 공급망 입찰·조달에서 우위를 확보한다.

중국은 신재생 급증과 함께 송배전·시장개혁·배터리·양수 등으로 계통안정을 동반 개선해 석탄 이용률을 50% 안팎으로 낮췄다. 한국도 송전선로 확충, 계통접속 대기 해소, 수요반응·저장장치 확대가 재생 투자와 ‘쌍을 이뤄’ 가야 한다.

지방·공기업 주도 PPA·분산자원·전기열 전환 가속

중국은 글로벌 전력 시장서 태양광 80%, 배터리 75%, (신규 설치용량 기준) 풍력 60%, EV 60%를 공급한다. 가격 하락 요인을 잘 체크하되, 특정 소재·장비 의존 리스크를 분산하는 양손 전략(공급선 다변화·공동투자·표준화)이 필요하다.

미국에선 공화당 주도 지역도 경제성·에너지안보를 이유로 재생 확대를 택했다. 한국도 재생 보급을 ‘산업 입지’·‘전기요금 안정’과 한 묶음으로 설계해야 한다.

캘리포니아는 배출권거래제(ETS) 연장과 함께 기금 재투자로 기후적응·저탄소 인프라를 확대했다. 국내 ETS도 탄소수익의 산업 전환·지역 상생 투자로의 순환을 제도화할 필요가 있다.

세계적으로 화석연료 수요는 구조적 하락이 불가피하다. 글로벌 파트너(UK·EU·일본·한국 등)도 빠르게 재생으로 이동 중이라는 점이 보고서의 일관된 메시지다. 선박·정유·석화 등은 ‘그린 선박·e연료·저탄소 소재’로 포트폴리오를 재편해야 한다.
국내 주요 업종별 체크리스트

- 제조(철강·시멘트·알루미늄): 공정전력 저탄소화·수소/전기화 로드맵, CBAM 대응 MRV 정비.

- 배터리·이차전지: 중국 가격·물량 공세를 전제로 소재 내재화·공정효율·해외 공동투자 병행.

- 조선·해운: 그린선박(암모니아/메탄올)·항만전력(AMP)·e연료 체인 선점. (전력·연료 수요의 재편은 보고서 전반의 핵심 전제)

- ICT·데이터센터: 재생 PPA·저탄소 전력장기계약 확대, 수요반응·저장 연계 운영.

- 소매·유통: 공급망 탄소정보 공개 강화, 물류·냉난방 전기화.

(편집자 주: 보고서 내 미국 기업의 공약 유지 흐름 참고)
당신이 놓친 글
재생에너지와 SMR은 대체재가 아닌 상호보완적 전원
재생에너지와 SMR은 대체재가 아닌 상호보완적 전원
by 
편집자
2025.9.7
아시아 각국, 암모니아 혼소 확대...한국은 불확실성 커
아시아 각국, 암모니아 혼소 확대...한국은 불확실성 커
by 
편집자
2025.9.1
세계 평균 29.9% vs 한국 7.5%… 재생에너지 비중 늘리려면?
세계 평균 29.9% vs 한국 7.5%… 재생에너지 비중 늘리려면?
by 
편집자
2025.8.13
“재생에너지, 화석연료보다 훨씬 싸졌다”…한국은 제도 장벽 ‘숙제’
“재생에너지, 화석연료보다 훨씬 싸졌다”…한국은 제도 장벽 ‘숙제’
by 
편집자
2025.7.24
당신이 놓친 글
재생에너지와 SMR은 대체재가 아닌 상호보완적 전원
by 
편집자
2025.9.7
재생에너지와 SMR은 대체재가 아닌 상호보완적 전원
아시아 각국, 암모니아 혼소 확대...한국은 불확실성 커
by 
편집자
2025.9.1
아시아 각국, 암모니아 혼소 확대...한국은 불확실성 커
세계 평균 29.9% vs 한국 7.5%… 재생에너지 비중 늘리려면?
by 
편집자
2025.8.13
세계 평균 29.9% vs 한국 7.5%… 재생에너지 비중 늘리려면?
“재생에너지, 화석연료보다 훨씬 싸졌다”…한국은 제도 장벽 ‘숙제’
by 
편집자
2025.7.24
“재생에너지, 화석연료보다 훨씬 싸졌다”…한국은 제도 장벽 ‘숙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