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수요 75% 늘고 탄소배출 22% 감소…‘2.6℃ 지구’ 막을 해법은 한국에 있나
전력수요 75% 늘고 탄소배출 22% 감소…‘2.6℃ 지구’ 막을 해법은 한국에 있나
특히 재생에너지 전환의 ‘속도와 규모’ 모두 재점검해야 한다. 2050년까지 67%를 재생에너지가 공급하는 세계 흐름에 비해, 한국은 RE100 이행률 12.5%, 전체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도 9% 내외에 불과하다. 이는 글로벌 밸류체인 편입 차단 위험을 야기할 수 있다. 저탄소 산업공정, 수소, 탄소포집기술 등은 아직 확산이 더딘 만큼 탈탄소 기술 선도는 물론 수요 창출형 정책 및 인센티브 제도 설계에 집중해야 한다.
News
편집자
편집자
News    

전 세계 전력 수요가 2050년까지 75% 증가하고 온실가스 배출량은 2050년까지 22% 줄이는 데 그쳐 파리협정 목표에는 미치지 못할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정부와 기업의 기후 대응 전략 재설계가 불가피하다는 지적이다.

블룸버그NEF(이하 BNEF)는 최근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을 위해 장기 에너지 및 기후 시나리오를 담은 '신 에너지 전망 2025(New Energy Outlook 2005)'에 따르면 전환 시나리오(Economic Transition Scenario)가 실현되더라도 지구 평균기온은 2100년까지 2.6℃ 상승하는 수준이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파리협정의 ‘1.5℃’ 또는 ‘2℃ 이하’ 목표 달성에는 역부족이라는 것이다.

BNEF는 글로벌 전력 수요에서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가 2035년까지 1,200TWh, 2050년까지는 3,700TWh로 급증, 전체 전력 수요의 8.7%를 차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주목할 부분은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의 64%가 여전히 화석연료 기반 발전에서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이다. 특히 기존 석탄·가스 발전소의 조기 폐쇄가 지연될 수 있다는 경고도 함께 나왔다.

경제 전환 시나리오(ETS), 비전환(현상 유지) 시나리오, 넷 제로(Net Zero) 시나리오별 연료 연소로 인한 CO₂ 배출 감축 비교. ‘비전환(no-transition)’ 시나리오는 탈탄소화 및 에너지 효율성에 있어 더 이상의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가정하에 설정된 가상의 반사실적(counterfactual) 모델이다. 전력과 운송 부문에서는 2023년(해운 부문은 2027년)의 연료 믹스가 미래까지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 ‘청정 전력(clean power)’은 재생에너지와 원자력을 포함하며, 탄소 포집 및 저장(CCS), 수소, 바이오에너지는 해당되는 별도 범주에 포함되어 제외된다. ‘에너지 효율성’은 수요 측면의 효율 향상을 포함한다. 'NZS 2024’는 NEO 2024 보고서에서 제시한 넷제로(Net Zero) 시나리오를 의미한다. 이미지 출처: BNEF 보고서 캡처.
BNEF

전체적으로 보면 세계의 석유 수요는 2032년에 하루 1억 4,000만 배럴로 정점을 찍고, 2050년에는 하루 8,800만 배럴로 수요가 감소하여 현재보다 크게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이는 순 배출량 제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반면 재생에너지는 2024년 기준 세계 전력의 33%를 차지하고 있으나, 2050년까지 2배 증가하면서 67%의 전력 공급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분석됐다. 석탄·가스·석유의 비중은 58%에서 25%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또 전기차(EV) 보급이 급증해 2050년에는 전체 승용차의 약 2/3가 전기차로 바뀔 것으로 예측했고, 운송부문의 석유 수요는 40%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BNEF는 2024년이 탄소배출량의 정점을 기록한 해일 수 있으며, 이는 올해부터 구조적 배출량 감소의 첫 해가 될 수도 있다는 모델링을 공개했다.

하지만 현재 주요 국가의 목표와 그 궤도는 서로 다른 상황에 처해 있어 NDC의 미래는 썩 밝지 못한 편이다. 여전히 수소, 탄소 포집 및 감축 관련 기술은 제한적인 진출에 머무를 것이란 우울한 전망도 내놨다.

한국 정부와 기업은 '선택과 집중' 전략이 중요한 시점이다. 먼저 전력 수요가 급증하는 시나리오에서 AI 데이터센터, 전기차 충전망 등 전력 인프라 수요가 집중되는 것과 관련 국내 전력망과 에너지 공급 다변화 전략 재설계 등 에너지 수급 안정성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특히 재생에너지 전환의 ‘속도와 규모’ 모두 재점검해야 한다. 2050년까지 67%를 재생에너지가 공급하는 세계 흐름에 비해, 한국은 RE100 이행률 12.5%, 전체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도 9% 내외에 불과하다. 이는 글로벌 밸류체인 편입 차단 위험을 야기할 수 있다.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 상향도 적극 고려해야 한다. 현재 한국 정부는 2030년까지 40%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이는 순 배출량 제로 경로에는 크게 미치지 못하는 규모다.

이와 관련 전문가들은 2018년 대비 2035년까지 약 70% 감축이 필요한 만큼 청정 기술 투자, 규제 개혁 병행 등 적극적인 정책 보완을 주문한다. 저탄소 산업공정, 수소, 탄소포집기술 등은 아직 확산이 더딘 만큼 탈탄소 기술 선도는 물론 수요 창출형 정책 및 인센티브 제도 설계에 집중해야 한다는 것이다.

당신이 놓친 글
기후변화로 노동시장도 흔들…“겨울 이상저온, 실업률 악화”
기후변화로 노동시장도 흔들…“겨울 이상저온, 실업률 악화”
by 
편집자
2025.4.25
공정위, 포스코의 친환경 광고에 시정명령 부과
공정위, 포스코의 친환경 광고에 시정명령 부과
by 
편집자
2025.4.24
벨킨 임팩트 보고서...스코프1, 2 탄소중립 달성
벨킨 임팩트 보고서...스코프1, 2 탄소중립 달성
by 
편집자
2025.4.22
국내 최초 태양광 중개 플랫폼 ‘SOLAR TRADE’...평가 및 매매 실적 누적 1000건 돌파
국내 최초 태양광 중개 플랫폼 ‘SOLAR TRADE’...평가 및 매매 실적 누적 1000건 돌파
by 
편집자
2025.4.21
당신이 놓친 글
기후변화로 노동시장도 흔들…“겨울 이상저온, 실업률 악화”
by 
편집자
2025.4.25
기후변화로 노동시장도 흔들…“겨울 이상저온, 실업률 악화”
공정위, 포스코의 친환경 광고에 시정명령 부과
by 
편집자
2025.4.24
공정위, 포스코의 친환경 광고에 시정명령 부과
벨킨 임팩트 보고서...스코프1, 2 탄소중립 달성
by 
편집자
2025.4.22
벨킨 임팩트 보고서...스코프1, 2 탄소중립 달성
국내 최초 태양광 중개 플랫폼 ‘SOLAR TRADE’...평가 및 매매 실적 누적 1000건 돌파
by 
편집자
2025.4.21
국내 최초 태양광 중개 플랫폼 ‘SOLAR TRADE’...평가 및 매매 실적 누적 1000건 돌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