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2037년이 되면 태양열과 풍력 발전량이 석탄 화력 발전량을 추월할 것이다."
재생에너지와 에너지, 천연자원을 대상으로 한 글로벌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우드맥킨지(Wood Mackenzie)는 최근 공개한 보고서 ‘컨버세이션 스타터: 화두가 되어줄 5개 에너지 도표(Conversation Starters: Five Energy Charts to Get You Talking)’에서 2028년까지 전력의 50%를 수력, 태양열, 풍력, 원자력, 에너지 저장 등 저탄소 에너지에 의존한다는 목표로 에너지 전환을 추진 중인 중국을 소개하며 이같이 밝혔다.
https://www.woodmac.com/horizons/five-energy-charts/
탈탄소화, 전기화, 지정학적 변화로 에너지 지형이 빠르게 달라지고 있는 흐름에서 중국은 2025년이 되면 중국의 태양열과 풍력 발전 설비 용량은 유럽과 북미의 규모를 합친 것보다 커질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배터리 전기차와 하이브리드를 합쳤을 때 전체 자동차 판매량 가운데 전기차의 비중은 89%를 이루게 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중국의 운송 부문은 2034년까지 배터리 전기차(BEVs)는 시장 점유율 66%를 달성해 글로벌 승용차 판매량을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
어디서든 중국산 전기차를 찾아볼 수 있는 시대가 앞당겨질 수 있는 것이다. 현재 배터리 전기차는 2030년까지 매년 8%씩 성장하고 내연기관(ICE) 자동차 판매량은 매년 11%씩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미국은 데이터 센터, 청정 기술 제조, 재생에너지 설비 생산 등 4차 산업혁명과 전기화 트렌드로 전력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Forbes-Cable은 “전력 수요는 2034년까지 1.9%의 연평균 성장률(CAGR)을 기록할 것"이라면서 "글로벌 경쟁력을 지키려면 전력망의 첨단화에 속도를 내야 한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또 탄소 포집 및 저장(CCS) 용량 추이의 경이로운 성장세도 내다봤다. 에너지 전환이 지연되는 시나리오에 따르더라도 CCS의 용량 규모는 2050년까지 LNG 공급량보다 3배 많아질 것으로 전망되며 기본적인 목표로 전개될 경우 약 4배 가량 많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해상풍력 발전 시장도 그 규모에서 비약적인 성장이 이뤄지고 있다. 한때 석유와 가스의 주 공급원이었던 북해 지역의 경우 현재 해상 풍력 발전량은 36기가와트(GW) 정도이나 2050년이 되면 240GW를 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해상풍력 발전의 에너지 생산량이 석유와 가스를 추월하는 것은 21세기가 지나야 할 것으로 예상했다. 당분간 기존 에너지원과 공존하는 시장의 복잡성을 보여준다.